MapleStory Finger Point

[프로그래머스] 롤케이크 자르기

2024. 10. 3. 15:58Problem Solving/Online Judge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문제 설명

철수는 롤케이크를 두 조각으로 잘라서 동생과 한 조각씩 나눠 먹으려고 합니다. 이 롤케이크에는 여러가지 토핑들이 일렬로 올려져 있습니다. 철수와 동생은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눠먹으려 하는데, 그들은 롤케이크의 크기보다 롤케이크 위에 올려진 토핑들의 종류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잘린 조각들의 크기와 올려진 토핑의 개수에 상관없이 각 조각에 동일한 가짓수의 토핑이 올라가면 공평하게 롤케이크가 나누어진 것으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롤케이크에 4가지 종류의 토핑이 올려져 있다고 합시다. 토핑들을 1, 2, 3, 4와 같이 번호로 표시했을 때, 케이크 위에 토핑들이 [1, 2, 1, 3, 1, 4, 1, 2] 순서로 올려져 있습니다. 만약 세 번째 토핑(1)과 네 번째 토핑(3) 사이를 자르면 롤케이크의 토핑은 [1, 2, 1], [3, 1, 4, 1, 2]로 나뉘게 됩니다. 철수가 [1, 2, 1]이 놓인 조각을, 동생이 [3, 1, 4, 1, 2]가 놓인 조각을 먹게 되면 철수는 두 가지 토핑(1, 2)을 맛볼 수 있지만, 동생은 네 가지 토핑(1, 2, 3, 4)을 맛볼 수 있으므로, 이는 공평하게 나누어진 것이 아닙니다. 만약 롤케이크의 네 번째 토핑(3)과 다섯 번째 토핑(1) 사이를 자르면 [1, 2, 1, 3], [1, 4, 1, 2]로 나뉘게 됩니다. 이 경우 철수는 세 가지 토핑(1, 2, 3)을, 동생도 세 가지 토핑(1, 2, 4)을 맛볼 수 있으므로, 이는 공평하게 나누어진 것입니다. 공평하게 롤케이크를 자르는 방법은 여러가지 일 수 있습니다. 위의 롤케이크를 [1, 2, 1, 3, 1], [4, 1, 2]으로 잘라도 공평하게 나뉩니다. 어떤 경우에는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누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롤케이크에 올려진 토핑들의 번호를 저장한 정수 배열 topp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자르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topping의 길이 ≤ 1,000,000
    • 1 ≤ topping의 원소 ≤ 10,000

입출력 예

topping
result
[1, 2, 1, 3, 1, 4, 1, 2] 2
[1, 2, 3, 1, 4] 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롤케이크를 [1, 2, 1, 3], [1, 4, 1, 2] 또는 [1, 2, 1, 3, 1], [4, 1, 2]와 같이 자르면 철수와 동생은 각각 세 가지 토핑을 맛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공평하게 롤케이크를 나누는 방법은 위의 두 가지만 존재합니다.

입출력 예 #2

  •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눌 수 없습니다.

 


 

👌 문제 풀이

  1. Map 2개로 롤케이크를 2개로 분할하는 것을 표현 ▷ map1, map2
  2. map1에 롤케이크 전체 토핑 정보를 저장
  3. topping 배열을 순회하면서 해당 순서의 토핑을 map1에서 빼고 map2에 추가
  4.  그 과정에서 map1의 토핑 종류의 개수와 map2의 토핑 종류의 개수가 같아지는 경우 answer++

 

💻 코드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HashMap;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topping) {
        int answer = 0;
        
        // 1. 현재 갖고 있는 토핑의 정보를 나타내는 Map 2개 정의
        // 롤케이크를 반으로 나눴을 때
        // map1: 왼쪽 부분 / map2: 오른쪽 부분
        Map<Integer, Integer> map1 = new HashMap<>();
        Map<Integer, Integer> map2 = new HashMap<>();
        
        // 2. 첫 번째 Map 초기화 - 롤케이크의 전체 정보를 가짐
        // 키: 토핑의 종류
        // 값: 해당 토핑의 개수
        for (int i = 0; i < topping.length; i++) {
            int temp = map1.getOrDefault(topping[i], 0);
            map1.put(topping[i], temp + 1);
        }
        
        // 3. 롤케이크를 반으로 자르는 작업
        // 왼쪽 <- 오른쪽으로 토핑 하나씩 전달
        for (int i = 0; i < topping.length; i++) {
        	// map1에서 토핑을 하나씩 map2에 전달
            // map1에서 해당 토핑의 개수 찾기
            int cnt = map1.getOrDefault(topping[i], 0);
            
            // 해당 토핑의 개수가 1개인 경우
            // map1에서 삭제
            if (cnt == 1) {
                map1.remove(topping[i]);
            } else {
                map1.put(topping[i], cnt - 1); // 개수 줄이기
            }
            
            // map2 -> map1으로 토핑 전달
            // map2에서 해당 토핑의 개수 찾아 개수 늘려주기
            int temp = map2.getOrDefault(topping[i], 0);
            map2.put(topping[i], temp + 1);
            
            // 가지고 있는 토핑의 종류의 개수가 같을 경우 answer++
            if (map1.keySet().size() == map2.keySet().size()) {
                answer++;
            }
        }
        
        return answer;
    }

}

 

🎓 배운 것

  1.  

'Problem Solving > Online Ju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2 x n 타일링  (0) 2024.10.10
[프로그래머스] 피보나치 수  (0) 2024.10.10
[프로그래머스] 튜플  (1) 2024.09.26
[프로그래머스] 배달  (0) 2024.09.12
[프로그래머스] 섬 연결하기  (1) 2024.09.05